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연금저축 vs IRP 세액공제 비교 (초보도 바로 이해)

연말정산 시즌만 되면 항상 헷갈리는 게 연금저축과 IRP 선택이야.
둘 다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고는 하는데,
뭐가 더 이득인지, 어떻게 나한테 맞게 고르면 되는지 명확하게만 정리해볼게.

결론부터 말하면:

“연금저축은 유연하고, IRP는 세액공제가 더 크게 들어온다.”


✅ 1. 연금저축 vs IRP 기본 차이

구분연금저축IRP(개인형퇴직연금)
가입 대상 누구나 근로자/자영업자 모두 가능
세액공제 한도 600만원 900만원 (연금저축 포함 통합 최대 900만원)
출금 가능 시점 55세 이후 55세 이후
중도해지 페널티 세금 추징 O 세금 추징 O (거의 동일)
투자 자유도 ETF/펀드 선택 쉬움 투자선택 폭 좁지만 요즘 많이 개선됨
유연성 높음 낮음(이체·출금 제한 더 많음)

✅ 2. 세액공제 혜택 계산 (얼마나 돌려받는가?)

세액공제는 내가 낸 금액의 일부를 세금에서 깎아주는 것이야.

연 소득세액공제율
5,500만원 이하 15%
5,500만원 초과 12%

예시)

  • 연금저축에 400만원 납입 → 15% 세액공제라면
 
400만원 × 15% = 60만원 환급
  • IRP까지 합쳐 총 900만원 납입하면
 
900만원 × 15% = 135만원 환급

즉, IRP 포함해서 납입하면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음.


✅ 3. 그럼 뭘 먼저 넣어야 하는가?

정답은 간단해:

연금저축 → IRP 순서로 채우기

왜냐면:

이유설명
연금저축은 출금, 변경, 운용 선택이 더 자유로움 돈 묶이는 부담 ↓
IRP는 세액공제 한도 늘리는 보조 수단 “40만원 더 받을 때” 쓰는 느낌
ETF 투자/리밸런싱이 연금저축이 훨씬 편함 운용 편의성 ↑

✅ 4. 초보자가 따라할 추천 세팅 (진짜 실전)

단계내용
① 연금저축 계좌 개설 (증권사 추천) 삼성 / 미래에셋 / 키움 / NH
② ETF 자동적립 설정 S&P500 + 국내배당 or 글로벌채권
③ 여유되면 IRP 계좌 추가 개설 같은 증권사로 하면 관리 편함
④ 연말 전까지 총 900만원까지 납입하면 최대 세액공제  

가장 쉬운 조합 예시 (그대로 따라 해도 됨)

  • 연금저축: S&P500 ETF 매월 자동투자
  • IRP: 국내채권 or 글로벌채권 ETF 천천히 적립하기

→ 이렇게 하면 위험도 분산 + 연금자산 장기 안정 구조 완성.


✅ 5. 결론 (아주 간단하게 요약)

상황추천
매달 꾸준히 투자 + 나중에 연금 받을 목적 ✅ 연금저축 먼저
세액공제 최대치 받고 싶다 ✅ 연금저축 + IRP 총 900만원 채우기
한 곳에서 간편하게 하고 싶다 ✅ 같은 증권사에서 둘 다 개설

핵심 한 문장 정리

연금저축은 편하고, IRP는 세액공제를 크게 만든다.
둘 다 쓰면 가장 이득.

 

반응형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11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글 보관함